2021. 5. 18. 20:50ㆍ카테고리 없음
하나님은 이스라엘과 유다를 비롯해 12나라를 심판하고 회복하시리라고 예고하셨습니다.
01. 열방에 대해 경고하시는 말씀(13-23장) 하나님은 유다와 베볼론 등 12나라를 징계하시리라.
01. 열방에 경고하시는 말씀(13-23장)
① (13장) <바벨론에 대한 경고>
하나님이 메대인을 일으켜 바벨론을 치시리라.
메대 사람은 야벳의 아들인 마대의 자손입니다(창 10:2). 메대는 오늘날 이란의 북서부 지역입니다. 바사 왕 고레스가 메대 지역을 정복했습니다. 이후 메대-바사 풍습이 시작되었습니다(에 1:14; 단 6:8). 메대-바사 연합군이 바벨론을 멸망시켰습니다(단 5:31). 메대인은 바사 제국(BC 550-339년)의 건국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함 계열 니므롯이 바벨에서 도시들을 세우고 나라를 창건했습니다(창 10:10). 갈대아는 바벨론 남부의 주민을 지칭하던 말입니다. 느부갓네살의 부친 나보폴라살이 갈대아 출신이었기 때문에 이후로 갈대아인과 바벨론인은 동의어가 되었습니다. "갈대아"는 민족명이고, "바벨론"은 국가명입니다. 갈대아인은 바벨론 제국(BC 626-539) 건국의 주인공입니다.
② (14:1-23) <바벨론의 교만>
하나님은 악한 바벨론 왕을 스올에 던지실 것이니, 아침의 아들 계명성이 땅에 떨어졌도다.
계명성은 "샛별, 새벽별"이란 뜻으로 히브리어로 '헤이렐'이라고 합니다. 계명성 자체는 원래 좋은 의미입니다(계 22:16). 계명성의 라틴어가 루시퍼(Lucifer)입니다. 하나님과 비기려는 교만한 바벨론 왕 및 천사장이었다가 타락한 사탄을 의미합니다(유 1:6). 교만한 두로 왕 및 사탄을 의미합니다(겔 28:11-19). 단테의 <신곡>, 밀튼의 <실락원>에서 루시퍼가 사탄의 이름으로 사용되면서 이후로 대중화되었습니다.
○ 사탄은 어떤 존재인가? (39일 참고) |
▶사탄("대적자")은 천사 3분의 1과 함께(계 12:4), 범죄하고(벧후 2:4) 천상에서 이탈했습니다(유 1:6). |
▶사탄은 타락해서(사 14:12) 땅으로 쫓겨났습니다(계 12:9). 거짓말로(요 8:44) 인류를 타락하게 만들었습니다(창 3:6). |
▶공중권세를 잡고(엡 2:2) 세상의 임금 행세를 하며(요 16:11), 두루(벧전 5:8) 유혹(막 1:13)하고 미혹해서(딤전 4:1), 사람들을 충동해(대상 21:1) 범죄하게 만들고 있으니(눅 22:31), 결국 죽이고 멸망시키려는 목적뿐입니다(요 10:10). |
▶하나님보다 자기 자신을 높이더니(사 14:13), 하나님의 신성과 권위를 모독하고(계 13:5), 하나님의 구원을 훼방하다가(마 16:23), 결국 심판을 받아 무저갱에 갇히게 되고(계 20:3), 영원히 불 못에 던져지게 될 존재입니다(계 20:10). |
▶사탄이 아무리 집요하게 유혹하고 강력하게 압박해도 당신은 하나님께 순복하고 마귀를 대적해야 합니다(약 4:7). |
바벨론의 왕의 배후에서 역사하고 있던 사탄의 몰락(Fall)을 예고하신 말씀입니다.
③ (14:24-27) <앗수르에 대한 경고>
하나님은 앗수르가 이스라엘을 떠나게 하시리라.
앗수르 제국은 셈의 아들인 앗수르의 후손입니다(창 10:22). 앗수르는 티그리스강 상류지역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오늘날 이라크 북부 모술 및 니느웨 근처 지역입니다. BC 10세기 앗수르 제국(BC 934-609)이 등장했습니다.
④ (14:28-32) <블레셋에 대한 경고>
블레셋은 북방에서 오는 군대로 말미암아 소멸되리라.
⑤ (15:1-16:14) <모압에 대한 경고>
모압이 하룻밤에 망해 3년 내에 능욕을 당하겠지만, 메시아 왕국은 견고하리라. 당시 모압의 곡식과 포도주는 국제적 명성을 얻었지만 앗수르의 침공으로 꺾이게 되었습니다(16:8-9).
⑥ (17장) <다메섹과 사마리아에 대한 경고>
아람의 다메섹과 북이스라엘의 에브라임이 멸절된 것은 그들이 구원의 하나님을 잊어버린 까닭입니다. "이종"(移種, 모종을 옮겨 심음, 10절)은 이스라엘이 비앙의 우상숭배를 그대로 옮겨와 답습했다는 뜻입니다.
민족간 갈등과 전쟁의 역사는 표면적으로는 세상 권력들 간의 힘겨루기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영적으로는 하나님이 섭리하시는 심판과 구원의 역사의 역사입니다. 세상 나라는 사라지리니 두려워지 마십시오. 역사의 경영자는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이십니다.
⑦ (18장) <구스에 대한 경고>
구스(에티오피아)는 나일강과 장대한 백성으로 강하더니 베임을 당하리라. "강 건너편 날개 치는 소리"는 '날개 달린 벌레처럼 강을 오르내리며 달리는 에티오피아의 신속한 배들'을 상징하는 표현으로 추정됩니다.
구스는 함의 아들인 구스의 자손입니다(창 10:6). 오늘날의 에티오피아, 수단, 소말리아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백나일과 청나일의 분기점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애굽의 제 25왕조(누비안 왕조, BC 7-8세기)를 통치했습니다. 디르하가왕이 산헤립과 전쟁했고(왕하 19:9), 히스기야에게 예물을 보냈습니다(7절; 대하 32:23). 앗수르 제국의 에살핫돈왕에게 패배했습니다.
⑧ (19장) <애굽에 대한 경고1>
애굽은 잔인한 군주들과 어리석은 지도자들 때문에 망하리라.
애굽은 함의 아들인 미스라임의 후손입니다(창 10:6). 나일강 하류의 농업과 문명에 기초한 제국이었습니다. 애굽 제국(BC 3200-332년)은 3천 년간 지속되었습니다. 강력했던 제국이 25왕조 전후에 극심한 혼란을 겪게 되었습니다. 델타 지역에 있는 소안과 놉(멤피스)의 지도자 몰락은 애굽 제국을 이끌 지도자의 부재를 의미했습니다. 이후 앗수르, 바벨론, 바사 제국이 연속적으로 침략했습니다. BC 331년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으로 애굽은 완전히 몰락했습니다.
애굽의 다섯 성읍은 포로귀환 후 건설된 유대인 거류지일 가능성이 있으며, 장망성은 '장차 멸망이 예정된 성읍'(히, 하헤레스)이 아니라 '태양의 성읍'(히, 하헤레스, 즉 헬리오폴리스)을 가리킵니다. 히브리어 발음이 같아서 생긴 번역의 오류일 수도 있지만, 태양신 숭배가 망하고 영적 부흥이 일어날 것을 표현한 언어유희일 수도 있습니다.
실제 역사상 애굽에 거주하던 유대인들이 BC 160년경 톨레미왕의 허락으로 예루살렘 성소와 똑같은 성소를 세웠고, 이후 애굽에 많은 수도원과 교회들이 세워졌으며, 애굽 북부 해안도시인 알렉산드리아에서 구약성경이 헬라어로 번역(70인역)되었습니다. 또한 마가의 선교로 시작된 콥트교회는 오늘날 이집트에 1천 만 명의 성도에 이르고 있습니다.
고대근동의 최강자요 적국이었던 애굽과 앗수르가 "그날에" 이스라엘과 더불어 하나님께 경배하고 세계 중에 복이 되리라는 놀라운 예언입니다! 앗수르 민족은 현재 전 세계에 3백만 명이 남아있으며 놀랍게도 대부분이 그리스도인입니다. 전승에 의하면 이들은 사도 도마에게 복음을 전해 들었다고 합니다. 또한 이들은 최근에 이슬람 근본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했던 수니파 이슬람 원리주의 무장단체 ISIS의 주요 박해 대상이었습니다. 니느웨의 회개 사건을 기억하여 지금도 앗수르인들은 매년 3일간 금식기도를 하며 그날을 기념합니다.
⑨ (20장) <애굽에 대한 경고2>
이사야가 3년간 벗은 몸으로 애굽과 구스가 당할 수치를 예표함은 당시 구스인이 바로가 되어 애굽을 통치하는 누비안 왕조였기 때문입니다. 앗수르의 사르곤왕이 BC 722년 북이스라엘을 멸망시키고 BC 711년 아스돗을 점령하여 남유다를 애굽에서 고립시켰고, BC 681년 에살핫돈왕이 디르하가왕에게 승리하며 멤피스를 점령했습니다.
⑩ (21:1-10) <바벨론에 대한 경고>
엘람과 메대의 마병대가 공격하여 바벨론이 함락되리라.
바벨론을 "해변 광야"라 함은 바벨론이 자주 유브라데강의 범람으로 침수됐고, 장차 엘람과 메대로 불리는 바사 제국에게 멸망당하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들은 마지막에 전쟁이 다가오는데도 연회를 벌이다가 패배했습니다(5-9절; 단 5).
⑪ (21:11-12) <에돔에 대한 경고>
"두마"는 "에돔"으로서, 헬라인은 에돔을 "이두매"(막 3:8)라고 불렀습니다. 특히 "두마"가 히브리어로 "침묵, 적막"(시 94:17, 115:17)을 의미하기 대문에 그들의 암울한 미래를 상징한 것으로 보입니다.
⑫ (21:13-17) <아라비아에 대한 경고>
아라비아가 전쟁에 패하리니 1년 내에 유목민족인 게달의 영광이 다 쇠멸하리라.
⑬ (22장) <예루살렘에 대한 경고>
예루살렘은 지리적으로 골짜기로 둘러싸여 있는 성이기에 환상골짜기라고 한 것입니다. 높은 산인데도 낮은 골짜기라고 폄훼함은 우상숭배와 거짓 선지자들의 환상 때문입니다. 백성이 지붕에서 우상들에게 분향했기 때문입니다. 관원들이 앗수르에 잡혀 갔습니다(3절; 왕하 18:14-16). 예루살렘에서 거짓 환상이 깨어지고 하나님의 심판이 임할 것이라는 예언입니다.히스기야의 신하 셉나는 자기 영달을 추구하다가 수치를 당했고, 신아 엘리아김은 제 역할을 감당했지만 잘 박힌 못 같았던 그도 삭아서 부러진다는 것은 그의 후손들이 족벌 정치를 함으로 부패했기 때문입니다.
⑭ (23장) <두로에 대한 경고>
두로와 시돈의 상인들이 애굽의 곡물을 들여와 열국의 시장을 벌여 다시스와 깃딤(구브로)과 무역을 했지만 교만하여 갈대아인 느부갓네살왕에게 망할 것이고 70년 만에 회복될 것입니다.
- 열방과 열국을 경영하시는 하나님이십니다(13-23장).
- 생각하신 것과 경영하시는 것을 반드시 능히 이루시는 하나님이십니다(14:24).
- 이스라엘뿐 아니라 이방인과 만민을 사랑하시는 하나님이십니다(19:2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