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5. 3. 16:00ㆍ카테고리 없음
느헤미야서는 성벽 재건의 책입니다. 느헤미야서는 이스라엘 국내 역사의 마지막 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앞의 책이 에스라서이지만, 사실 학사 에스라는 1차 귀환자들보다는 시기적으로 3차 귀환자들과 가까운 때에 활동했습니다. 에스라가 신앙의 개혁을 주도했다면, 느헤미야는 사회의 개혁을 주도했고 에스라가 마음껏 활동할 수 있도록 환경과 기회를 마련해 주는 역할을 했습니다.
제목
에스라서 개요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습니다. 라틴어 성경 벌게잇에서는 '제2에스라' 였지만 현대에는 기자 느헤미야의 이름을 따서 '느헤미야'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저자
에스라와 느헤미야는 히브리 성경에서 본래 한 권이었지만, 느헤미야서는 느헤미야 본인이 1인칭으로 서술한 책이기 때문에 후대에 명확하게 느헤미야의 저작으로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기록 연대
느헤미야가 예루살렘으로 귀환한 시기는 B.C. 444년 이었습니다. 그는 12년 동안 유다 총독으로 일하다가 잠시 바사로 돌아갔습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유다로 왔습니다. 느헤미야 당시 바사 왕이었던 아닥사스다는 에스더를 왕비로 삼은 아하수에로(크세르크세스) 왕의 계승자로서 B.C. 425-424년에 통치했습니다. 본서는 아닥사스다왕이 죽기 전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배경
에스라서와 본서는 약 110년간에 걸친 역사를 다루고 있습니다. 스룹바벨의 인도 아래 귀환한 유대인들은 우여곡절 끝에 20년이나 걸려서 성전을 재건하였습니다. 그 후 약 60년이 지나서 에스라의 성전재건과 예배회복 운동이 일어났고, 말라기 선지자도 이 무렵 활동하기 시작했던 인물입니다. 따라서 말라기는 느헤미야, 에스라와 함께 이스라엘의 영적 재건을 위해 일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당시 유대인들은 성전 재건을 완수하고 유다 땅에 정착하는데 성공했지만 여전히 우상숭배의 위험에 처했습니다. 이방인과의 통혼이 만연하였고 주변 이민족들은 앗수르 제국의 식민지 정책에 의해 이스라엘땅에 와서 살고 있었기에 갖가지 우상을 함께 섬기는 혼합주의적인 종교를 가졌기 때문입니다.
느헤미야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섭리
느헤미야는 아닥사스다왕의 술 관원으로 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던 고위 관려였고 3차 포로 귀환의 지도자였습니다. 관료 출신인 그는 에스라와는 달리 바사국 군대의 호위를 받으며 예루살렘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러나 그는 바사국에서의 높은 사회적 지위를 다 포기하고 예루살렘 재건, 민족 공동체 재건이라는 비전을 이루겠다는 일념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는 사방의 방해를 이겨내는 동시에 내부의 분열을 보듬고 규합하는 리더십을 보였으며, 목표를 반드시 이뤄내는 돌파력과 자기 자신을 희생하는 겸손을 겸비한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귀환 공동체를 거룩한 신앙 공동체로 재건하겠다는 투철한 신앙심과 사명감으로 비전을 현실로 만들어냈습니다. 그런 점에서 다니엘과 같은 영성 및 다윗과 같은 예배자의 마음, 사도 바울과 같은 실행력을 갖춘 리더였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기도하는 신실한 사람이 은혜를 입게 하시고, 기뻐하시는 일을 행한 자에게 은혜를 주시고, 은혜와 긍휼이 많으사 돌이키는 백성을 회복하십니다.
내용과 구성
1-7장은 주변 민족들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52일 만에 성벽을 재건한 이야기이며, 8-13장은 언약을 갱신하고 언약의 말씀대로 종교적·사회적 개혁을 단행한 이야기입니다.
성벽 재건 (1-7장) | ||
재건 준비 | 1-2장 | 느헤미야의 기도와 비전 |
재건 완성 | 3-7장 | 52일 간 성벽 재건 완료 |
언약 갱신 (8-13장) | ||
언약 갱신 | 8-10장 | 율법 낭독 및 언약 갱신 |
언약 준수 | 11-13장 | 성벽 봉헌 및 사회 개혁 |